독서일기2022. 6. 23. 15:09

류성룡의 임진왜란 후기다.

후손들이 오늘의 참화를 다시금

겪지 않길 바라는 마음에서 썼다고 한다.

 

안타깝게도 그의 마음과 다르게

후손들은 불과 40년 전에 있었던 일들을 경계하지 못했다.

다시금 청으로 침략을 당했기 때문이다.

 

책 초반은실패와 부끄러움의 연속이다.

장수들은 도망가고, 임금과 지도층의 영은 지방에 닿지 않는다.

백성들의 원망도 보인다.

있는 사람들은 먹을 거 챙겨 도망가면 되지만,

없는 사람들은 무엇을 할 수가 없다.

전쟁이 길어져 농사도 할 수 없는 상황에서

그들은 무엇을 먹고 7년의 시간을 버텼을까?

생각하면, 가슴이 아리다.

 

도성을 버리고 피신한 왕조는

이순신의 활약과 명의 원조로 한 숨 돌리지만

문제를 해결할 궁극적인 솔루션은 없다.

그렇기에 조선 땅에서 벌어진 전쟁을

조선이 끝낼 수는 없다.

언제가 될지 모르지만, 끝나기 만을

누가 대신 끝내주기 만을 기다릴 뿐이다.

 

그러나 전쟁에 임하는 부모와 자식의 마음은다르다.

청의 부흥이 신경 쓰이는 명은 병사의 손실을 최소화 하기 위해

처음과는 다르게 시간이 갈수록 소극적으로 임하고,

 

후환이 사라지길 바라는 조선은

명이 후퇴하는 일본 군사들을 소탕해주길 바라지만

마음 뿐이다. 혼자만 애탄다.

 

그렇게 전쟁은 히데요시의 죽음으로 끝나고,

나라를 구한 이순신도 마지막 싸움에서 전사한다.

아마 책에서 개인에 대한 분량으로는 이순신이 제일 많지 않나 싶다.

그만큼 고마움과 미안함이 컸음이리라.

 

누가 죽고, 누가 죽고...

누가 도망가고, 누가 도망가고..를

담담하게 그려내지만, 그의 속 마음은 어땠을까?

 

내가 느끼는 그의 심리는

분노와 슬픔, 부끄러움도 아닌 안타까움이다.

 

"어쪄다 이 지경이 됐을까?", "무엇이 잘못 됐을까?"

 

문관들과 장수들의 실패를 열거하지만,

결국 그들을 임명한 것은 왕이고 조선의 시스템이다.

그것에 대해 담지는 못 했겠지만,

구조적인 문제에 대해 느끼는 바가 많았을 것 같다.

 

개인(왕)의 역량에 의해 나라가 의존하는 바가 크고,

중요한 순간에는 온 백성의 명운이 걸리다 보니

똘똘한 사람이 오는 게 중요한데,

그것을 본인들이 선택할 수는 없고,

혹 처음에는 좋은 사람이었을지라도

시간이 흘러 나태해지고 변질되는 것은 막을 수 없다.

 

이 지점에서 그는 

정몽주(보수)와 정도전(개혁)을 떠올리지 않았을까?

 

새삼 민주주의에 대한 고마움을 느낀다.

 

 

'독서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병자호란  (0) 2022.05.27
5백년 명문가의 자녀교육  (0) 2021.01.10
거의 모든 인터넷의 역사, 정지훈  (0) 2016.02.19
길 없는 길  (0) 2016.02.13
거의 모든 IT의 역사, 정지훈  (0) 2015.09.20
Posted by 방배동외톨이